[조선·동아 100년] 한반도 운명을 바꾼 동아의 '찬탁반탁 가짜뉴스'

  • 기자명 자유언론실천재단
  • 기사승인 2020.04.03 08:3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유언론실천재단은 2020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창간 100년에 맞춰 <조선·동아 거짓과 배신의 100년, 최악 보도 100선> 책을 발간했습니다. 책 내용을 뉴스톱에 칼럼으로 기고합니다.

1945년 12월 28일 미국, 소련, 영국의 외상들이 소련 수도 모스크바에서 한국의 신탁통치에 관한 ‘결정’을 발표하기 직전인 12월 27일자 동아일보 1면 머리에는 모스크바3상회의가 한국 신탁통치에 관해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결정’에 관한 기사 [소련은 신탁통치주장 소련의 구실은 삼판선분할점령 미국은 즉시독립주장]가 보도됐다. 사진출처=민언련 조선동아거짓보도100년아카이브
1945년 12월 28일 미국, 소련, 영국의 외상들이 소련 수도 모스크바에서 한국의 신탁통치에 관한 ‘결정’을 발표하기 직전인 12월 27일자 동아일보 1면 머리에는 모스크바3상회의가 한국 신탁통치에 관해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결정’에 관한 기사 [소련은 신탁통치주장 소련의 구실은 삼판선분할점령 미국은 즉시독립주장]가 보도됐다. 사진출처=민언련 조선동아거짓보도100년아카이브

 

33. 동아의 모스크바 삼상회의 ‘가짜뉴스’

동아일보는 1945년 12월 28일에 열리는 삼상회의 결과를 발표 이전에 미리 가짜뉴스로 보도했다. 사실과 정반대로 미리 보도한 것이었다. 사실은 소련이 신탁통치할 이유가 없으니 즉시 독립시키자는 것인데 반해 미국은 5년 이상 신탁통치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타협안으로 5년 신탁통치를 통한 임시정부 수립에 합의된 것이었지만 동아의 이같은 가짜뉴스로 우익 진영은 즉시 독립시키자고 했다는 미국을 지지하는 ‘반탁’으로, 처음에는 역시 ‘반탁’을 지지했다가 모스크바 삼상회의가 신탁통치 합의로 발표되자 ‘찬탁’의 입장으로 돌아선 좌익진영으로 나뉘어 반목 대립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이승만과 한민당은 즉시 독립이라는 명분으로 ‘반탁’을 통해 친일세력을 포함한 모든 우익진영을 단결시키려고 했다. 친일세력은 자신들의 친일경력을 즉시 독립을 위해서 노력하는 ‘애국자’로 포장했다. 오늘날 좌우대립이라는 남남갈등의 씨앗은 이렇게 뿌려진 것이었다.

그러나 한민당 송진우 총무(대표)가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과 보도를 보고 “미-영-소 삼상 결정이 세 나라에 의해 합의된 것이고 이를 우리가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발언했다가 다음 날 자택에서 피격 사망하고 말았다. 한민당의 수뇌도 삼상회의 결과를 받아들이고 임시정부 수립으로 가자고 합리적 판단을 했지만 우익 친일세력의 방침에 따르지 않는 인물은 지위고하를 가리지 않고 처단하려고 했다.

또한 동아일보는 1946년 1월 16일자 1면에 조선공산당수 박헌영이 조선을 소련의 속국으로 만들기를 희망했다는 내용의 기사(조선을 소련의 속국으로 / 샌프란시스코 방송이 전하는 조공(朝共) 박헌영씨 희망)를 올렸다. 이 기사는 동아가 미국의 방송보도 내용을 확인도 하지 않고 인용한 오보로 드러났다. 같은 회견에 참석한 미군 기관지 기자와 국내 12개 신문과 통신사 기자 일동이 박헌영에 대한 동아의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해도 바로잡지 않았다. 전년도 12월 27일자 가짜뉴스를 그대로 밀어붙였던 것이다.

1947년 1월 20일 입법의원에서 이승만 추종자들과 한민당 의원들이 중도파 의원들이 기권한 가운데 “반탁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동아일보는 1947년 1월 22일자 1면 머리 기사 '입의에서 반탁을 결의 - 전 민족의 총의를 표시 / 신탁 반대안을 상정 - 44대 1로 가결 / 민족사에서 영원히 빛날 대사실/ 반탁의 가결은 민의 반영' 등을 비롯해 한민당과 이승만을 추종하는데 그치지 않고, 칭송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사진출처=민언련 조선동아거짓보도100년아카이브
1947년 1월 20일 입법의원에서 이승만 추종자들과 한민당 의원들이 중도파 의원들이 기권한 가운데 “반탁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동아일보는 1947년 1월 22일자 1면 머리 기사 '입의에서 반탁을 결의 - 전 민족의 총의를 표시 / 신탁 반대안을 상정 - 44대 1로 가결 / 민족사에서 영원히 빛날 대사실/ 반탁의 가결은 민의 반영' 등을 비롯해 한민당과 이승만을 추종하는데 그치지 않고, 칭송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사진출처=민언련 조선동아거짓보도100년아카이브

 

34. 이승만의 ‘남한 단독정부 주장’ 적극 지지한 동아

1946년 6월 3일부터 4~6일 이승만의 ‘남한 단독 정부’ 주장 발언이 잇따라 나오자 좌우를 막론하고 이승만을 비판했다. 단독정부 수립에 대해 가장 먼저 지지하고 나선 정파는 한민당이었다. 한민당은 장덕수를 중심으로 ‘선거대책’을 마련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선거가 치러지면 240명의 후보를 내세워 정국의 주도권을 잡고, 조직을 강화해서 전국의 각 동과 리(里)에 근거를 확보하여 공산당의 침투를 막겠다는 것이었다.

6월 11일에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독촉) 전국지부장대회가 서울 정동 교회에서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 이승만을 총재로, 김구와 김규식을 부총재로 추대했다. 6월 29일 이승만은 ‘민족통일총본부’(민총)을 결성했고 민총 총재는 이승만, 부총재는 김구였다. ‘단정’을 반대했던 김구가 그 때 이승만의 단정운동에 왜 동조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승만은 오직 남한 단독정부 수립과 ‘무력통일’ ‘북진통일’ 말고는 아무런 현실적 정책도 내놓지 않았다.

1946년 7월 9일 동아일보는 이승만의 회견 기사를 내놓고 있다. 단독정부론을 반대하는 여운형과 김규식을 중심으로 좌우합작운동이 일어났다. 우익의 원세훈 한민당 총무와 좌익의 민전 의장단 허헌 등이 참여한 ‘좌우합작 4자회담’이 성립했다. 여러 차례의 회합을 통해 1946년 10월 7일 좌우합작 7원칙에 합의했다. 모스크바 삼상합의에 기초하여 민주주의 임시정부의 수립, 미소공위의 속개, 토지의 유상몰수-무상분여, 주요산업의 국유화, 친일파와 민족반역자 처리 조례 심리 결정 등에 합의했다. 그러나 한민당은 즉각 반대성명을 발표했다. 동아일보는 10월 9일자에 ‘반탁’, 그리고 토지개혁 등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역시 제4항에 명시된 ‘친일파 및 민족반역자 처리’가 한민당의 주요간부의 운명을 위태롭게 한다고 보았을 것이다. 한민당의 이같은 결정은 원세훈 총무를 비롯한 김병로, 김약수 등 원로와 중진급 당원들의 탈당을 불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의 이슈
모바일버전